olympiad.kr 己出(기출) 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11강 > olympiad3 | olympiad.kr report

己出(기출) 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11강 > olympiad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olympiad3

己出(기출) 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11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0 21:48

본문




Download : 동양11강.hwp






3)이지
-人必有私(인필유사)-사람은 반드시 사사로움이 있다아 =공리(功利)
=>성인이라 할지라도 사사로운 욕망을 쫓는 마음이 있음.
-맹자와 양혜왕의 대화
‘맹자가 오신 것은 우리 나라에 어떠한 도움이 있겠습니까?라고 묻자, 맹자는 ‘어찌하여 왕은 하필이면 이(利)를 말하십니까?라고 말했다는 고사에서도 이러한 사욕/공리를 인정한 바가 있다아

4)대진
-적극적으로 송명이학을 비판
-이리살인: 이로써 사람을 죽이는 것이다.**시험에 나왔던 기출문제가 체크되어있습니다(동그라미: 주관식// 네모: 객관식).** , 기출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11강인문사회레포트 , 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11강 아이캠퍼스





레포트/인문사회





교수님이 불러주시는 내용은 직접 타이핑 하였습니다.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를 억제함으로 인해 사람
을 사람답지 못하게 만듦

----->여기까지 천리와 욕망 분리한 데에 대한 비판을 한 학자들

*어떠한 이들은 리와 기를 분리한데에 …(省略)

설명
다.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를 억제함으로 인해 사람
을 사람답지 못하게 만듦




*송명이학은 유학의 전성시기
*고금: 어제와 오늘/ 고대와 현재
*중서: china(중국) 과 서양
-china(중국) 은 고에 해당하고, 서양은 금(현대화)에 해당되어 있다고 인식되어 있음.
-‘근대화’라는 것은 서양적인 것을 배우자는 의미의 내용
*명대로 들어오면서 양명학이 득세함.

1.송명이학의 폐해
*태주(泰州)학파
-양명 말기의 대표적인 학파
-선불교의 경향이 농후(번잡한 수양과정을 버리고 돈오를 추구: 찰나간의 본심을 보면, 성인이 될 수 있다- 속세를 떠난 소극적인 인생관을 갖게 됨.)
===>이러한 학파에 대한 비판이 출현함

2.송명이학의 비판자들
1)이욕지변(理慾之辨)
*천리와 인욕간의 관계는 어떠한 가의 문제
*유가는 ‘이리절욕(以理節慾)’-천리로써 인욕을 절제해야한다.강의자체에서 제공되는 부분은 캡쳐를 하였으며교수님이 불러주시는 내용은 직접 타이핑 하였습니다.들으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교수님이 강의안을 제공해주시지 않습니다.

한성구,동양사상입문,강의안,11강,아이캠퍼스,인문사회,레포트
들으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교수님이 강의안을 제공해주시지 않습니다.그러한 관계로 직접 강의를 듣고 강의내용을 포함하여 작성한 자료입니다.



이 자료(資料)를 보시면 굳이 수업을 듣지 않더라도 A+학점 받으실수 있습니다.
동양11강_hwp_01.gif 동양11강_hwp_02.gif 동양11강_hwp_03.gif 동양11강_hwp_04.gif 동양11강_hwp_05.gif 동양11강_hwp_06.gif


Download : 동양11강.hwp( 38 )




<<<빈공간 부분은 강의안이 캡쳐되어있는 부분입니다.

3)이지
-人必有私(인필유사)-사람은 반드시 사사로움이 있다아 =공리(功利)
=>성인이라 할지라도 사사로운 욕망을 쫓는 마음이 있음.
-맹자와 양혜왕의 대화
‘맹자가 오신 것은 우리 나라에 어떠한 도움이 있겠습니까?’라고 묻자, 맹자는 ‘어찌하여 왕은 하필이면 이(利)를 말하십니까?’라고 말했다는 고사에서도 이러한 사욕/공리를 인정한 바가 있다아

4)대진
-적극적으로 송명이학을 비판
-이리살인: 이로써 사람을 죽이는 것이다. 욕망을 죄악시 함
*도가는 ‘무욕(無慾)’-욕망이 없어야 함/ 불가는 ‘滅慾’-욕망을 없애야 함
*유가의 주자는 ‘존천리 멸인욕’-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없애야 함
*영명학은 ‘존심 거욕(存心 去慾)’- 마음을 보존하고 인욕을 없애야 함
=존천리 멸인욕과 동일한 뜻

2)엽적
-禮者, 慾而己矣- 예라는 것은 욕망에서 출발한다.


순서
**시험에 나왔던 己出(기출) 문제가 체크되어있습니다(동그라미: subjective item(주관식) // 네모: multiple choice).**
그러한 관계로 직접 강의를 듣고 강의내용을 포함하여 작성한 자료(資料)입니다.




한성구 교수님 동양사상입문 강의안입니다.이 자료를 보시면 굳이 수업을 듣지 않더라도 A+학점 받으실수 있습니다.강의자체에서 제공되는 부분은 캡쳐를 하였으며

己出(기출) 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11강
한성구 교수님 동양사상입문 강의안입니다.>>>

*송명이학은 유학의 전성시기
*고금: 어제와 오늘/ 고대와 현재
*중서: china(중국) 과 서양
-china(중국) 은 고에 해당하고, 서양은 금(현대화)에 해당되어 있다고 인식되어 있음.
-‘근대화라는 것은 서양적인 것을 배우자는 의미의 내용
*명대로 들어오면서 양명학이 득세함.

1.송명이학의 폐해
*태주(泰州)학파
-양명 말기의 대표적인 학파
-선불교의 경향이 농후(번잡한 수양과정을 버리고 돈오를 추구: 찰나간의 본심을 보면, 성인이 될 수 있다- 속세를 떠난 소극적인 인생관을 갖게 됨.)
===>이러한 학파에 대한 비판이 출현함

2.송명이학의 비판자들
1)이욕지변(理慾之辨)
*천리와 인욕간의 관계는 어떠한 가의 문제
*유가는 ‘이리절욕(以理節慾)-천리로써 인욕을 절제해야한다. 욕망을 죄악시 함
*도가는 ‘무욕(無慾)-욕망이 없어야 함/ 불가는 ‘滅慾-욕망을 없애야 함
*유가의 주자는 ‘존천리 멸인욕-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없애야 함
*영명학은 ‘존심 거욕(存心 去慾)- 마음을 보존하고 인욕을 없애야 함
=존천리 멸인욕과 동일한 뜻

2)엽적
-禮者, 慾而己矣- 예라는 것은 욕망에서 출발한다.
전체 6,12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olympiad.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