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부안에서 일어난 두가지 반대운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30 07:08본문
Download : 전북 부안에서 일어난 두가지 반대운동.hwp
누가 부안에 올 것이며, 누가 남아있겠냐는 걱정, 부안 출신 사람과 누가 결혼하겠냐는 걱정들은 이런 모습을…(skip)
,생활전문,레포트






다. 매일같이 촛불시위에 참여하는 바람에 이 지역 경제가 완전히 파탄 지경에 이르렀다는 탄식과 동시에 그렇게라도 해서 막지 않았으면 정말 막대한 손해를 입을 뻔했다는 안도의 감정은 지역을 불문하고 모든 주민들의 인터뷰 과정에서 나타났다. 농·어업, 관광업, 요식업, 숙박업 등을 막론한 직접적인 경제적 손실의 경험이 핵폐기장 시설이 안전하다는 政府(정부)와 지자체의 회유와 보상의 논리에 부안군민들이 설득되지 않은 가장 큰 이유라고 볼 수 있다 경제적 손익뿐만 아니라 지역 이미지, 부안인들의 대외 이미지의 실추 역시 부안 투쟁이 격렬하고 광범한 색깔을 갖는 사람들을 묶어낼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핵폐기장이 들어서면 이런 경제적 어려움이 장기화될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에 주민들은 당장의 생업을 중단하고, 학업도 중단하는 과격성을 보일 수 있었던 것이다. 실제로 위도에 핵폐기장이 들어선 것도 아닌데 부안산 농산물이 반품되고, 격포·변산 등 관광지의 숙박 예약이 거의 모두 취소되면서 실제 수입이 급감하는 사태에 이르게 된 것이 부안 투쟁의 격화를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향토주의적 성격보다 더 우선적인 규정력을 갖는 것은 경제적 합리성의 측면이었다.
새만금 부안
설명
순서
레포트/생활전문
전북 부안에서 일어난 두가지 반대운동
Download : 전북 부안에서 일어난 두가지 반대운동.hwp( 22 )
새만금 부안새만금부안 , 전북 부안에서 일어난 두가지 반대운동생활전문레포트 ,
새만금부안
1. 문제제기
2. 부안 핵 폐기장 반대 운동
(1) 경 과
(2) 왜 반대하는가.
(3) 부안 운동의 성과
3. 새만금 반대운동
(1) 진행상황
(2) 주민들의 입장
4. 두 운동의 조건과 성격에 관한 analysis(분석)
(1) 핵폐기장 반대운동
(2) 새만금 반대운동
(3) 무엇이 다른가
5. 가능성의 모색 - 부안의 두 운동을 통해서
6 conclusion - 민주주의의 확립을 통한 환경문제 해결방식의 모색
(1) 핵폐기장 반대운동
우선 핵폐기장 반대운동에는 세계에서 곳곳에서 일어났던 원전 사고들이 주민들에게 주는 공포감과 혐오감이 내면에 자리 잡고 있다 원전 사고가 발생하면 이 지역에서 기형아가 나오고, 방사능에 오염된 농산물이 생산된다는 주민들의 말에는 이 지역을 오염시킬 수 없다는 향토주의가 녹아있다 상대적인 저발전 지역이기 때문에 오히려 깨끗한 환경과 수려한 경관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 주민들의 한숨 섞인 자랑은 이 지역을 한 번에 오염시킬 수 있는 핵시설이 들어오면 안되는 근거로 활용되고 있었다. 이것은 3~4억의 보상금을 약속받은 핵폐기장 유치 지역인 위도 주민들이 오히려 찬성 입장에 섰다는 사실에서도 잘 드러난다.